-
내년 최저임금, 현재 최저임금과 비교! 2025년 최저임금궁금증해결 2024. 7. 10. 10:46반응형
안녕하세요 스토리온입니다😊
올해 초 정말 물가가 너무 많이 올랐어요!
저같은 직장인들은 매일 같이 식당을 찾기 때문에
점심시간에 식당에서 밥을 먹어보면 물가를 바로 체감할 수 있는데요.
올해초 기본 1,000원에서 많게는 2,000원까지 올라버린 밥값들!!
다행이 회사에서도 식비를 올려줘서 감당이 되지만 진짜 미친 물가상승이에요!
내년에 최저시급이 어떻게 될지 예상안이 나왔다고 하니 현재 최저임금과 내년 최저임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께요!
2024년 현재 올해 최저시금은 9,860원으로 2023년 대비 2.5% 인상된 금액이에요.
금액으로 따지면 240원 올랐습니다.
출처: 네이버 2022년은 21년에 비해 5.5%가 인상됐고 2023년은 22년에 비해 5%가 인상한것 치고는 저조한 상승률이 아닌가 싶어요.
내년인 2025년 최저시급이 아직 확전된건 아니지만 예상안이 나왔는데요.
최근 4개년 평균치를 기준으로 인상률을 가정하면
- 1.5% 인상 시 : 10,007원
- 2.0% 인상 시 : 10,057원
- 2.5% 인상 시: 10,106원
- 3.0% 인상 시 : 10,155원
- 3.5% 인상 시 : 10,205원
- 4.0% 인상 시 : 10,254원
- 4.5% 인상 시: 10,303원
- 5.0%인상 시 : 10,353원
인상률과 금액을 보기 좋게 정리 했어요~
근로자 측 입장으로는 고물과로 인한 실질소득이 감소됐다는 입장을 언급하면 최저 임금 1만원 돌파를 주장하고 있으며
1만2천원 이상의 금액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되고요.
사용자 측 입장에서는 이미 주휴수당을 포함한 시급이 1만원을 돌파한 모습이라고 반발하는 입장을 내비추며 사실상 최저임금 1만원이 현실화 되는 순간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게는 큰 영향력을 끼칠거면 일자리 감소도 예상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합니다.
역시 주는 입장은 적게 주고 싶고 받는 입장은 많이 받고 싶은게 현실이네요!
최저임금은 노동계와 경영계가 다양한 입장을 통해 최저시급 물가 상승과 고용률 저하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되는데요.
노동자 입장에서는 그래도 올랐으면 하는 바람이 크고요ㅋㅋㅋ
어찌됐건 내년에는 올해보다 좀더 경기가 나아졌으면 합니다!!
반응형'궁금증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청소년의 날, 디지털 혁신으로 미래를 열어요! (3) 2024.07.22 트로트의 전설, 현철님의 별세 소식에 눈물짓다. (1) 2024.07.16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혜택, 청년 대상 환급 신청 (0) 2024.07.09 다이소 여름 제품, 여름 방석, 워터건(물총), 물놀이 용품, 손선풍기 등 다양한 다이소 제품 구경하세요! (0) 2024.06.18 상봉 코스트코 9월 할인, 마지막이 될것 같은 초밥을 먹으며... (2) 2023.09.08